치아배열에서 핵심은 유지라고 할 수 있다. 잔존 치조재 상태에 적절한 배열이 필요하며 교두 경사각에 영향을 받게 될 가능성이 많다 위에 사진은 보다시피 한쪽은 포인트 컨택이며 다른 한쪽은 Group function으로 normal bite이다. 이런 상황에서도 균형교합은 유도된다. 환자구강에서 활주운동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다.
중요한부분을 알고 그것은 공략하면 편해진다. 현실에 가까워지는 것이다. 기초공사가 잘된 건물이 오래 버티는것 처럼……
한가지더!! Trial Denture base & 왁스림에서의 오류
환자의 잔존치조제 상태가 양호하다면 Trial Denture Base는 최소한의 relief를하고 제작해야한다.
Mastercast에서도 쉽게 분리된다면 성공하기 힘든 의치가 될것이다.
치과기공사가 직접 확인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무치악이라는 불리한 여건에서는 relief된 master cast에서 trial denture base와 왁스림을 제작한 후, 환자에게 시적시 어느 한 부분이라도 조기 접촉이 된다면 최종보철물이 틀어지는것은 당연하다. 술자는 전치부 왁스림을 오픈하던지 림자체를 연화하여 탭핑법을 활용해야한다.
만약! 전치부 림에서 조기접촉이 된다면 총의치 특성상 최종보철에서 구치부 교합이 안될 수 있다. 왜? 이미 구치부 trial base는 점막에서 떠 있는 상태로 최종바이트가 인기되었을것이니까! (때로는, 잔존 치조제 상태가 불량하여 의치접착제를 사용하거나 연성이장제를 사용해서 바이트 체크를 하기도 한다)
partial일 경우 하악이나 상악 양측 모두 교합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는 양측에 조직이 눌려서 생기는 문제로 fulcrum line을 기준으로 생길 수 있다.
해결: altered cast로 후방 인상을 한번 더 채득한다.
최후방 지대치(7,8번?)가 존재한다면 괜찮다.
근본적으로는 교합을 약간(1mm)거상하여 치료실에서 조절하는 편이 좋다.
무치악 환자에게 있어서 Wax denture 시적시에 후방구치의 이개현상은 악간관계 채득 오류이거나, wax 수축에 의한 현상이다.
Trial denture base의 적합도 불량으로 맞는것으로 오판할 수 있지만, 최종적으로 완성의치 시적에서 이런 결과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해결법으로 흔히 제시되는 방법이지만…
spee’s curve를 좀더 부여해서 하악이 전방 유도되는것을 잡아준다(?) 그러면 pre-molar가 이개 될것이고 Anterior는 상하악이 서로 맞닿게된다. 습관위도 무시할수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Anterior 수평피개량을 크게한다(?) 술자는 편하게 최종의치 조절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전방 변위 폭 만큼 구치부의 조절이 필요할 것이다. 각각의 교두 내사면을 전후좌우로 조절해야 한다(Lingulized occ. 치아 사용 권장) ? ? ? ? ? ? ?
mono plane으로 제작한의치가 오래가지 않아 Anterior에서 간섭이 일어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한다. 교합시에 전후관계에 stop을 잡아주는 교두 내사면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잔존치조제의 흡수가 아주 심한경우 본래의 치아위치보다 후방배열될 수 밖에 없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때는 하악은 4번을 제거하고 상악은 5번을 제거한다. 하악을 기준으로 4,5,6과 5,6,7 구조로볼때 전후방 약 3mm정도의 차이가 생기는이유로 최후방 7번을 제거하면 balance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Spee’s curve에서 손해를 볼것이다. 물론 저작효율도 함께….